벽운공을 계속 해나가게 되면 처음에는 아주 미약하게 느껴지던 기운이 공력이 세짐에 따라 점점 더 뚜렷하고 강하게 느껴집니다. 처음에는 화기와
금기가 잘 구분이 안 되지만 갈 수록 차이점이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결코 기운이 강해지기 때문이 아닙니다. 기운의 세기가 변한 것이 아니라 기감이 예민해 진 것입니다. 처음에는 안 느껴지던 기운이 어느날 탁 느껴졌다고 해서 처음에 비해 기운이 강해진 건 아닙니다.
왜 갈 수록 오행이 분명하게 확실하게 느껴지느냐 하면 그건 바로 오행의 기운이 담고 있는 정보가 갈 수록 정리가 되고 명확한 메시지로 바뀌어 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감이라는 감각으로 더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시력이 강하다"는 것은 초점이 뚜렷하다는 소리지 물리적인 에너지나 파워가 아닙니다. 청력이 강하는 것은 고막의 울림을 보다 정밀하게 해석한다는 것이지 역시 에너지나 파워가 아닙니다. 정보 해석의 정확성과 정밀도의 문제입니다. 기감 역시 파워의 세기가 아니라 정보의 질입니다. 정보의 질이 높을 수록 우리는 더 강하고 선명하게 기감으로 느끼게 됩니다. 물론 이 기감이 예민할 수록 몸은 건강한 것입니다.
사람이 늙고 쇠잔해 질 수록 시력이 약해지고, 청력이 떨어지고, 후각도 둔해집니다. 피부 감각도 둔해지고 혀의 미각도 떨어집니다. 감각의 예민함과 건강은 정확하게 비례합니다. 기감을 예민하게 하는 것은 바로 신체의 기능을 강화하는 결과와 직결됩니다.
결코 기를 강하게 만들어서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의 강화가 필요한 경우도 물론 있지만 기를 강하게 하는 것은 아주 부분적인 대처법이고 부수적인 것입니다. 테레비 화면이 크다고 좋은 테레비가 아닙니다. 문제는 화질입니다. 모니터 사이즈를 키우는 것은 기를 강화하는 것이고, 화질을 선명하게 하는 것은 기감을 단련하는 것입니다. 테레비의 성능에서 중요한 것은 크기가 아니라 선명한 화질입니다. 선명치 못한 화질에 크기만 하면 눈만 더 베립니다.
구름~~
그런데 이것은 결코 기운이 강해지기 때문이 아닙니다. 기운의 세기가 변한 것이 아니라 기감이 예민해 진 것입니다. 처음에는 안 느껴지던 기운이 어느날 탁 느껴졌다고 해서 처음에 비해 기운이 강해진 건 아닙니다.
왜 갈 수록 오행이 분명하게 확실하게 느껴지느냐 하면 그건 바로 오행의 기운이 담고 있는 정보가 갈 수록 정리가 되고 명확한 메시지로 바뀌어 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감이라는 감각으로 더 선명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시력이 강하다"는 것은 초점이 뚜렷하다는 소리지 물리적인 에너지나 파워가 아닙니다. 청력이 강하는 것은 고막의 울림을 보다 정밀하게 해석한다는 것이지 역시 에너지나 파워가 아닙니다. 정보 해석의 정확성과 정밀도의 문제입니다. 기감 역시 파워의 세기가 아니라 정보의 질입니다. 정보의 질이 높을 수록 우리는 더 강하고 선명하게 기감으로 느끼게 됩니다. 물론 이 기감이 예민할 수록 몸은 건강한 것입니다.
사람이 늙고 쇠잔해 질 수록 시력이 약해지고, 청력이 떨어지고, 후각도 둔해집니다. 피부 감각도 둔해지고 혀의 미각도 떨어집니다. 감각의 예민함과 건강은 정확하게 비례합니다. 기감을 예민하게 하는 것은 바로 신체의 기능을 강화하는 결과와 직결됩니다.
결코 기를 강하게 만들어서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의 강화가 필요한 경우도 물론 있지만 기를 강하게 하는 것은 아주 부분적인 대처법이고 부수적인 것입니다. 테레비 화면이 크다고 좋은 테레비가 아닙니다. 문제는 화질입니다. 모니터 사이즈를 키우는 것은 기를 강화하는 것이고, 화질을 선명하게 하는 것은 기감을 단련하는 것입니다. 테레비의 성능에서 중요한 것은 크기가 아니라 선명한 화질입니다. 선명치 못한 화질에 크기만 하면 눈만 더 베립니다.
구름~~
'구름타운 > 벽운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서와 조화의 관계 (0) | 2006.03.02 |
---|---|
기공의 편식 문제 (0) | 2006.03.02 |
기가 건강하다는 의미 (0) | 2006.03.02 |
벽운공의 요결 (0) | 2006.03.02 |
상극의 원리-반극성 (0) | 200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