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23~24 영해 괴시리.

 

백암온천을 가면서

또 오면서 괴시리 전통마을을 들린다.

 

 

번호택(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79호)

조선 효종때 유학자인 대은 권경(1604~1666)의 3남의 주택이다. 가옥의 건립은 현 소유주의 8대조가 18세기말에 건립한것이다. 가옥은 안채

와 사랑채가 연결되어 ㅁ자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이지방 사대부 집의 일반적인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은종택(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278호)

조선 효종때 유학자인 대은 권경(1604~1666)의 종택이다. 선조때 선생의 선친이 처음 건립 하였고 고종 26년(1889)에 새로 건립하고 1978년

다시 고쳤다. 선생은 슬하에 3자를 두었는데 차남의 집은 송천리의 송천 세려고택, 3자의 집은 종택 우측에 있는 번호택이다. 이가옥은 원래

정침과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침 왼쪽에 있던 사당은 퇴락하여 철거해버려 현재는 주초석만 남아있다. 정침 은 정면 5칸,측면 6칸 규모

의 ㅁ자형으로 왼쪽으로 사랑마루 1칸이 돌출되어 편날개집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팔작지붕으로 정면에 "취옹세려" 사랑마루 앞

에는 "대은헌"이라고 쓴 편액을 걸었다. 새로 고치는 과정에서 후기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 되었으나 조선 중기 영남지방 사대부가의 고택으로

평면및 배치등이 이채롭다.

 

아궁이에 굼불을 지피셨는데 연기가 왠지 정겹다.

 

대은종택 종부.

 93세라고 하시는데 귀만 조금 어두울뿐 정정하시다.

 

 

 

 

 

백암수련관 201호. 14평 방인데 운동장만 하다.

 

 

귀가중 들린 후포 요트 수련장.

 

 

 

후포.

 

 

 

후포 어판장.

 

목은 이색 선생.

 

목은 이색선생 유적지.

목은선생께서는 이곳에서 태어나 일찌기 고향을 떠났으나 종신토록 고향을 잊지 않았다. 특히 영덕과 관련하여서는 관어대 소부와 유사정기

외 20여수에 이르는 시가 있어 당시 고향에 대한 선생의 생각과 당시의 풍습과 문화를 알수있게 해주고 있다. 또한 6000여수에 이르는 방대

한 시문을 남긴 대 문호일뿐 아니라 성리학을 진작시킨 대학자이신 목은선생의 인연을 숭앙하고자 선생의 자취가 남은 이곳 유허에 유적지를

조성하였다. 

 

 영감댁(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 424호)

호은 남흥수(1813~1899)공이 1847년경 건립하였으며 1938년 호은공의 증손 남대철이 중수 하였다 한다.

 

 

영해 주곡댁(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93호)

증가 선대부 호조참판 남경괄(1772~1835)의 처가인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를 따서 주곡댁이라고 한다. 처음 건립은 1700년대 말~1800년대초로 추정되며 1919년경 남효순에 의해 다시고쳐진것으로 전해진다. 

 

사곡댁(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25호)

고종 27년(1890)에 남용이 건립한것을 현소유자의 부친인 남응호가 남용의 아들 제조로부터 매입하였다 한다. 사곡댁이란 택호는 현소유자의

고조부인 남조영(1855~1930)의 처가인 동명의 경주 사곡을 딴것이라 한다.

 

 

물소와 고택(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98호)

조선조 좌승지에 추증된 물소와 남택만이 종가에서 분가한후 그의 증손인 남유진이 건립하였다.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수 없으나 안대청 마루

위쪽 마루대를 받는 장여밑에 "갑자 12월 27일 전시 상량"이라는 기록과 치목 수법이나 보존상태및 건축양식으로 볼때 1924년 새로 고친것으

로 보인다.

 

 

영양남씨 괴시파 종택(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75호)

현소유자인 12대조 남붕익이 17세기말 건립했다고 전한다.

 

 

 

영해 구계댁(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96호)

졸헌 남경악(1763~1821)이 1805년경 건림했으며 그의 현손 남경목이 1910년경에 수리 하였다. 그후 남훈이 일제를 피해 이주하고 현소유자

의 조부인 남진당이 매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해촌 고택(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99호)

해촌 남극만이 조선 영조 51년(1775)에 건립한 가옥이다. 현재의 건물은 안대청 종도리 장혀의 상량문에 광서 4년 이라는 기록을 통해 고종 15

년(1878)에 보수한 것으로 보인다.

 

대남댁(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97호)

조선영조 42년(1766)에 남준형이 건립한것으로 전해진다.안대청 장혀 부분에 보이는 "신해 2월 18일 묘시 입주동 시상량"이란 기록은 새로 지

어진 연대로 보여진다. 상량문에 연대를 기록하지 안았기 때문에 정확한 연도를 알수 없으나 신해년에 해당하는 철종 2년(1851)이나 1911년의

두경우를 생각해볼수 있는데 평면이나 마을전체의건축상황을 볼때 1911년이 타당할것으로 보인다.

 

영은고택(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9호)

현소유자의 5대조인 영은 남공수(1793~1875)가 1871년에 건립하였다. 마릉내 다른 가옥과 달리 전면 좌.우측에 처마를 달아 팔작지붕으로 만

들어 팔작지붕의 박공 부분이 정면으로 보이게 한것이 이주택의 특징이다. 건축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영덕지방의 지역성을 나타

내주는 평면구성과 보기드문 지붕형태등 건축학적 가치가 있는 건물이다.

 

 

흥해시장 보미횟집에서

'나들이 > - 먼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일원  (0) 2012.09.14
청주 썬플라자 컨벤션 센타  (0) 2012.08.28
영양일원(문길답사)  (0) 2012.08.21
충무 미륵산(한국화)  (0) 2012.08.13
거제도  (0) 2012.08.13

+ Recent posts